지식산업센터 투자 조건?

안녕하세요 이재희 차장의 분양 이야기입니다.
지식산업센터 투자 시 안정적이 수익형인 면,
차익적인 면 혹은 두 면을 다 보고
결정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우선 조건을 설정하세요!
1. 지식산업센터 안에서 업무형, 제조형의 공급 비율과 가격 형성 차이가 어떻게 나는지
2. 가격이 그렇다면 그 지역에 맞게 합리적이거나
타협점을 찾을 수 있는 사업지인지
3. 사업지의 교통, 주요 교통 거점과 거리는 용이한지
4. 사업지의 주변 지역 내 외에 이전 기업 수요와
인근 지식산업센터에 대한 공급 사례가 있는지

지역의 경우에는 2가지로 나눠보면
1. 저평가 지역을 공략하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저평가 지역만 보는 게 아니 주변 인근 지역까지
함께 봐야 하는 이유
우리나라의 부동산 형성은 주로 거점 도시
(예를 들면 서울)로부터 지방으로 뻗어나가는
이른바 낙수효과가 특징으로 보이는데요
서울이 먼저 발전하고 그 인근 도시들 그 인근 도시들의
인근으로 점차 뻗어나가고 교통이 좋아짐에
따라 지가가 상승해온 역사를 이룬 바 있습니다.
2. 아파트와 지산을 동일선상에 놓고 판단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간혹 아파트의 가격과 지식산업센터의 가격을
동일선상에 놓고 보시는데
아파트의 경우는 주거형 부동산
지식산업센터는 비주거 부동산으로 성격이
다릅니다. 서로 좋은 영향을 주기는 합니다.
지식산업센터가 많아지면 상주인구가 늘어나고
직주 환경 개선을 위해 아파트를 얻으려는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지가 상승이 됩니다.
다만 아파트는 지식산업센터가 없어도
가격을 오릅니다
지식산업센터는 아파트가 있다고 가격이 오르지는
않습니다 기업의 수요가 많아야 가격이
상승됩니다.

지식산업센터의 수요에 관해 이야기를 해보면
'지식산업센터의 공급량이 과잉이다'
라고 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지식산업센터의 공급량은 물론 국토부에서
정해 놓은 토지에 따라 짓는 것도
있겠지만 지역의 수요에 맞추어 결정됩니다.
어느 지역은 나 홀로 있는 지산이
어느 지역은 여러 지산이 모여 있는 경우는
바로 이 때문입니다.
다만 지식산업센터의 공급량은 시기적으로 조율해
순차적으로 들어와야 하는 부분은 극히 공감하는 바입니다.

이렇게 많고 많은 지식산업센터에서 좋은 호실을
가져가는 게 우선이겠죠?
1. 타입을 정하세요(제 조형, 업무형, 라이브오피스,
기숙사, 상가 등)
2. 층 정하기 해당 타입들이 어느 층에 있는지 확인 후
어느 층이 메리트가 있는지 따져보세요
3. 코너로 실 엘리베이터 근처, 코너로 실, 테라스가 있는 호실 등 개성 있는 호실 등
4. 옥석을 가리자 내 눈에 좋아 보이는 호실은
남에게도 좋은 호실입니다.

지식산업센터 사업지 공부할 때는
1. 해당 사업지의 기본 개요
2. 현장답사
3. 모델하우스 방문 및 상담
을 권해 드립니다.
지식산업센터 문의는?
부동산으로 개미에서 배짱이 지식산업센터
#지식산업센터#세마역현대프리미어캠퍼스#광교시그니처2차#평택엠에스원타워#군포트리아츠#청라skv1#당산skv1
open.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