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산업센터 정보

지식산업센터 미래 가치 투자

이재희차장 2023. 3. 6. 07:50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이재희 차장의 분양 이야기입니다.

오늘은 지식산업센터의 현황과 그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지식산업센터는 무엇인지 한 번 더 생각해 볼까요?

동일 건축물에 제조업, 지식산업 및 정보통신산업을 영위하는 자와 지원시설이 복합적으로 입주할 수 있는

다층형(3층 이상) 집합건축물로서

6개 이상의 공장이 입주할 수 있는 건물은 말한다.

지식산업센터

지식산업센터를 분양을 받으면 어떤 사람들에게

월세를 받을까요? 업체들입니다.

지식산업센터에 들어갈 수 있는 업체들은 제조업, 지식기반산업, IT가 대표적인 기업들인데요

이 기업들이 지식산업센터에 들어와서 사업을 영위합니다.

그러면 어떻게 임대를 맞출까요? 세입자를 어디서 찾을까요?

오피스텔은 주거용 부동산의 성격이 매우 강하고 사업적, 주거적 거점을 구한다기보다는 잠깐 거쳐갈 곳을 찾는 사람들이 가장 큰 주를 이룹니다.

즉 타 부동산에 대해 대체로 많이 쓰인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주거 쪽의 성격이 더 강한 곳입니다.

한창 오피스텔의 붐도 많이 불어서 많은 분들에게 오피스텔에 대한 정보가 알려졌는데요.

지식산업센터는 오피스텔에 비하면 인지도가 낮은 편입니다.

오피스텔을 사람들이 처음 마주 보았을 때 수익형 부동산의 성격이 강한 부동산이었습니다.

지금 부동산 시장에서 월세를 받으려고 하는 부동산은 흔하지 않습니다.

오피스텔도 투기 과열로 인해서 정부의 온갖 규제가 생기게 되었고 월세를 받아서 수익률을 기대하기에는 어려워진 실정입니다.

작년 아파트 시장이 불타오를 때 오피스텔은 아파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각광받았는데요. 하지만 지금 부동산 시기가 침체되자 아파트보다 큰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결국 부동산의 주성격이 침체기와 세입자를 버텨 낼 수 있는지가 관건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지식산업센터가 작년에 분위기도 좋고 너도나도 지식산업센터에 대해 투자를 진행하셨을 건데요.

지식산업센터는 바로 세입자도 맞추고 월세도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다는 말을 들어 보셨을 텐데..

우리나라 부동산에서 세입자 바로 맞춰져서 월세를 바로 받는다면 너도 나도 다하지..라는 생각이 듭니다.

지식산업센터는 기본적으로 회사, 업체분들이 들어와서 일하는 건물입니다.

업체 분들은 우리가 가정집 이사하는 것처럼 쉽지 않습니다. 가정집 이사할 때도 살집, 이삿짐센터 등 이사를 진행하는데 많은 시일이 걸립니다.

회사는 어떨까요?

많은 직원, 집기, 시설 다 옮겨야 하는데 더 많은 시일이 소요될 것입니다. 회사가 이전하려면 최소 기존에 쓰고 있는 평수를 찾아야 할 것이며 직원들의 출퇴근 환경, 교통을 신경 쓸 수밖에 없습니다.

사업기반을 옮긴다는 것을 기존에 기방을 다져놓은 곳에서 이동한다는 의미기 때문에 업체들의 이전이 좀 더 느리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지식산업센터는 입주가 다 차는 데 최소 1년이 걸립니다. 업체들이 다들 와서 사업을 영위하고 활성화되는데 빠르면 6개월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상가 투자를 할 때 어떨까요?

바로 세입자가 맞춰질 거라고 기대하시나요?

상가라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아닙니다. 어느 부동산이든 리스크는 항상 동반합니다. 강남도 공실이 있는 판국에 전국 어디든 공실이 안날 수는 없습니다.

이러한 리스크를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고, 부동산의 인식을 타파하려면 부동산을 사려는 고객님 들고 공부, 정보를 알아보셔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투자들의 열기가 내려가니 현재 기업들은 더욱 움직이고 있습니다. 참 아이러니합니다.

지식산업센터를 투자하시려고 보시는 분들이 가장 많이 하시는 말이 전 전매할 거예요 인데요..

지식산업센터를 전매 부분으로만 알아보시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지식산업센터는 장기적으로 봐야 하는 물건입니다.

현재 수도권의 지식산업센터 현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서울을 보면 현재 성수동, 문정동이 가장 크게 두드러지고 있으며 영등포 분양가 3300만 원을 찍었습니다. 올해 강서구에 3500만 원에 현장이 열린다는 얘기가 있습니다.

구로, 금천도 가격이 많이 상승해 2500선을 넘어 분양하고 있습니다.

서울의 경우 노후화 단지가 아닌 이상 2500 밑의 물건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설정입니다.

경기도의 상황은 서울 근교의 경기도 지역이 먼저 상당히 대두되었는데요. 가격도 상당히 올라갔습니다.

기존에 경기도 외곽지역은 900~1000에 분양되었는데요 1년이 지난 지금 1500~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더 이상 경기도에도 싼 공장 부지는 없다는 것으로 증명되고 있습니다.

해가 지날수록 지식산업센터의 평당 가는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1. 매년 오르는 최저임금
  2. 물가, 원재 제값 상승
  3. 지가 상승

대한민국의 지가는 매년 증가하고 공사 인부들의 최저임금은 증가하고 매년 물가 원자잿값이 상승하니 건설사의 공사단 가는 매년 상승할 수밖에 없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이는 지식산업센터는 포함한 어떤 부동산이든 다 같은 형국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만큼 우리나라의 땅이 일부분에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다는 것입니다.

부동산은 망할 수 없는 자산입니다.

부동산을 볼 때 하루 지나 내일 1억이 옳았다는 말은 부동산 투자할 때 기대하면 안 되는 말입니다.

부동산은 투자를 고려할 때 최소 5년에서 10년을 봐야 하는 물건이고 그중에 월세도 받아 볼 수 있는 투자라는 점이 부동산에 가장 큰 쟁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투자.. 남의 말에 현혹될 수도 있고 유행을 타기도 합니다. 지금 금리가 어렵다고 부동산 시장은 망했다고 하시는 분들이 많을 텐데요.

애초에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LMF 때도 리먼 사태 때도 부동산 가격이 폭락했을 때 부동산 안 하고 다른 것들을 많이 하셨을 텐데요.

그때 부동산 사신 분들은 지금 어떻게 되었습니까?

어떤 투자든 미래에 이 투자금이 더 가치 있기를 바랍니다. 투자를 하기에 앞서 자신의 지산이 투자를 하면 문제가 생기지 않을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보시길 바랍니다.

투자는 언제든 리스크를 동반합니다. 좋은 투자만 있지 않습니다. 자신의 공부와 노력이 리스크를 점차 옅어지게 만드는 것입니다.

지식산업센터 문의

https://open.kakao.com/o/gvGb41Md

 

부동산으로 개미에서 배짱이 지식산업센터

#지식산업센터#세마역현대프리미어캠퍼스#광교시그니처2차#평택엠에스원타워#군포트리아츠#청라skv1#당산skv1

open.kakao.com

 

728x90
반응형
LIST